이중항체 관련주 8종목종목을 알아보겠습니다. 관련 검색어로는 이중항체 대표기업 에이비엘 바이오 항암제 화이자 주식 백신원료 백신 냉동 앱클론 파멥신 이중항체 임상 3상 코로나 바이오 주 은 K바이오 에이프로젠 합병 등이 있습니다.
이중항체 관련주 정리
종근당 (이중항체 관련주)
-기업소개
-
동사는 2013년 11월 2일을 분할기준일로 투자사업부문을 담당하는 존속법인 종근당홀딩스와 의약품사업부문을 담당하는 신설회사인 종근당으로 인적분할되어 설립.
-
2013년 12월 6일에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에 재상장함.
-
신약 및 개량신약, 제네릭 의약품에 대한 우수한 개발능력을 보유, 연간 매출액 대비 10% 이상의 연구개발 투자를 집행하며 표적항암제,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등 신약개발 임상 진행 중.
-기업실적
-
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3.6% 증가, 영업이익은 105.9% 증가, 당기순이익은 111.6% 증가.
-
기존 자누비아, 글리아티린 등이 모두 크게 성장하고 코로나19의 유행으로 프리베나가 수혜를 입으면서 매출이 크게 성장하였음.
-
파이프라인으로 유럽 임상 3상 파트너를 찾고 있는 네스프 바이오시밀러, 국내 임상 1상을 진행 중인 EGFR/c-Met 이중항체 폐암치료제의 가치상승이 기대되고 있음.
한미약품 (이중항체 관련주)
-기업소개
-
의약품 제조 및 판매를 주 사업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주요 제품으로는 고혈압치료제(아모디핀), 복합고혈압치료제(아모잘탄) 등이 있음.
-
원료의약품 제조 및 판매업을 영위하는 한미정밀화학 및 의약품 제조 및 판매업 영위 업체 북경한미약품유한공사를 주요 자회사로 보유하고 있음.
-
호중구감소증 치료제 롤론티스 및 얀센에 기술 이전한 비만치료제 HM12525A, NASH 치료제 HM15211 임상에 따른 파이프라인 경쟁력을 확보함.
-기업실적
-
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.5% 감소, 영업이익은 90.5% 감소, 당기순이익 적자전환.
-
의약품 시장은 꾸준히 수요가 있어 매출액은 전년동기대비 거의 유지하였으나 해외시장악화로 원가 및 판관비가 증가하여 영업이익은 계속 적자를 유지하고 있음.
-
최근 중국을 비롯한 이머징 마켓의 제약시장 수요 급증, 세계적인 인구 고령화 추세에 따른 노인성 질환에 대한 치료 수요 급증 등으로 향후 매출 개선을 기대하고 있음.
파멥신 (이중항체 관련주)
-기업소개
-
2008년 설립된 연구중심의 항체치료제 개발 기업으로, 2018년에 코스닥시장에 기술특례로 상장함. 바이오신약을 연구개발하고 기술이전 등을 통해 수익 창출을 목표로 함.
-
완전인간 비면역 scFv 파아지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완전인간 항체 개발기술, 차세대 이중표적항체 제조 원천기술 등의 핵심기술을 보유함.
-
주요 파이프라인은 종양 신생혈관치료제, 비종양 혈관질환 치료제, 면역항암제 등 다양한 항체치료제가 있음.
-기업실적
-
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0% 증가, 영업손실은 155.6% 증가, 당기순손실은 117.9% 증가.
-
다양한 글로벌 제약사들을 대상으로 기술이전 관련 다각적 노력을 하고 있으며, 서로가 만족하는 조건이 도출되면 그에 따른 기술이전에 따른 매출액도 가시화될 것임.
-
올린베시맙과 키트루다의 삼중음성 유방암 대상 병용임상이 2상으로 진행되며 PMC-309, 402, 403 등 추가적인 물질들의 임상 진입을 준비 중.
앱클론 (이중항체 관련주)
-기업소개
-
동사는 2010년에 설립된 난치성 질환 치료 목적의 항체신약 개발 전문 기업이며, 2017년 9월에 코스닥 시장에 기술특례 상장함.
-
동사 보유 기술은 NEST, AffiMab, CAR-T 등 플랫폼 기술로 파이프라인 확장성이 높음. 보유 기술을 통해 블록버스터 항체의약품과 병행치료 효과를 낼 수 있는 항체신약을 개발중.
-
개발한 신약은 직접 판매하지 않고 다국적제약사 등에 전임상 단계에서 License-out하여 수익창출함.
-기업실적
-
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84.2% 감소, 영업이익 적자전환, 당기순이익 적자전환.
-
항체의약품 개발 기술력을 바탕으로 국내 제약사들에 지속적으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파트너쉽을 구축하고 있으며, 새로운 서비스를 발굴하고 품질을 높이고자 노력중임.
-
동사의 ADDs 항체지원사업에 대한 반응이 좋아 앞으로 서비스 매출은 급속도로 증가될 것으로 기대됨.
에이비엘바이오 (이중항체 관련주)
-기업소개
-
동사는 2016년 2월 설립되었으며 이중항체 기술을 기반으로 항체치료제를 연구 및 개발, 상업화를 기본 사업 모델로 하는 바이오 의약품 개발 전문기업임.
-
동사는 항암제, 이중항체 치료제, 퇴행성뇌질환 치료제 기술 등을 중심으로 바이오 신약을 개발하고 있음.
-
주력하고 있는 항암제 시장 및 퇴행성 뇌질환치료제 시장은 성장성이 높고 수요가 높은 시장으로, 해당 파이프라인의 기술이전을 통한 외형확대, 성장을 꾀하고 있음.
-기업실적
-
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12.4% 감소, 영업손실은 99.9% 증가, 당기순손실은 100.5% 증가.
-
암 미세환경에서만 T 세포가 활성화되어 면역세포가 암세포만 선별적으로 공격하고 정상세포는 공격하지 않게 하는 것이 핵심이며, T 세포 관여 이중항체가 암특이적 면역항암반응을 유도함을 확인함.
-
동사는 혈액뇌관문 통과를 용이하게 하여 보다 효과적인 뇌질환 치료용 이중항체로 개발 중임.
에이프로젠제약 (이중항체 관련주)
-기업소개
-
동사는 1960년 건풍산업주식회사로 설립되어 의약품 등의 제조,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는 회사로 1984년 상장함.
-
연결대상에 포함된 종속회사인 에이프로젠파마㈜는 의약품 도소매업, ㈜에이프로젠헬스케어앤게임즈는 게임 사업, 의약품 도매업을 주요 사업으로 함.
-
당사의 화성공장은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 적합 판정서를 받았으며, 항생제, 순환기제, 소화기제, 소염진통제 등 140여 품목의 의약품을 생산, 판매하고 있음.
-기업실적
-
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2.7% 증가, 영업손실은 15.1% 감소, 당기순이익 흑자전환.
-
레미케이드 바이오시밀러는 미국 임상3상을 완료하였으며, 허셉틴 바이오시밀러는 미국 임상1상 완료, 리툭산 바이오시밀러는 비임상 시험 단계를 거치고 있음.
-
전년동기대비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증가하였으며, 이자수익이 대폭 확대된 반면 이자비용과 법인세비용은 절감하여 순이익 흑자전환함.
유틸렉스 (이중항체 관련주)
-기업소개
-
동사는 현재 유틸렉스 T 세포치료제의 임상과 CAR-T세포치료제 및 면역항암 항체치료제의 개발을 진행하고 있음.
-
또한 Immunology와 Oncology에 대한 오랜 연구를 바탕으로 보유하고 있는 파이프라인의 조기 상용화를 추진 중에 있음.
-
T세포 체료제는 보유 파이프라인 중 NK/T 림프종 적응증으로 식약처에서 임상 2a상 승인을 2018년 9월에 받았으며 나머지 파이프라인은 임상 1상 또는 연구자 임상을 진행.
-기업실적
-
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94.9% 증가, 영업손실은 29% 증가, 당기순손실은 55% 증가.
-
2020년 9월 분기보고서 기준, 기술료 수익으로 862백만원, 장비 임대 수익으로 13백만원의 매출액을 기록하였음.
-
2019년에는 AACR를 통해 유틸렉스 기술을 적극적으로 홍보하였으며, CDA를 맺어 동사가 보유한 파이프라인들의 개발 및 글로벌 진출에 매진.
헬릭스미스 (이중항체 관련주)
-기업소개
-
동사는 1996년 서울대 학내 벤처로 설립되어 2005년 코스닥시장에 상장하고, 2019년 바이로메드에서 헬릭스미스로 사명 변경함.
-
플라스미드 DNA 플랫폼을 이용한 유전자치료제를 개발하는 바이오신약 사업과 천연소재의 약효를 검증하는 천연물신약 사업을 영위함.
-
임상단계 파이프라인으로 DNA 기술 기반의 VM202(당뇨병성신경병증, 족부궤양, 루게릭병), VM206(유방암)과 재조합 단백질 기반의 VM501(혈소판감소증)이 있음.
-기업실적
-
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8.5% 증가, 영업손실은 65.9% 증가, 당기순손실은 407.3% 증가.
-
기술이전, 용역 매출은 없으나 건강식품 매출 증가로 전년동기 대비 외형 확대되었음. 단, 비용부담으로 영업손실은 확대됨.
-
핵심 파이프라인인 당뇨병성신경병증 치료제 VM202는 미국 임상 3-1상 추적관찰 마무리하였으나 임상 오염으로 재임상(임상3상) 진행중임.
관련글보기
이상으로 이중항체 관련주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 투자의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. 모두 성공 투자 바랍니다.
'주식 > 관련주 , 테마주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이재명 관련주 24종목 | 대선 정책 인맥 테마주 (0) | 2021.01.29 |
---|---|
오늘의 상한가 이유 (현대비앤지스틸우,제주은행,신원종합개발) (0) | 2021.01.29 |
소부장 관련주 15종목 (0) | 2021.01.29 |
이미지센서 관련주 7종목 (0) | 2021.01.27 |
로봇 관련주 8종목 (0) | 2021.01.26 |
조류 인플루엔자 관련주 9종목 (0) | 2021.01.26 |
cbdc 관련주 8종목 (0) | 2021.01.26 |
주사기 관련주 대장주 (0) | 2021.01.25 |